
▲ 전미자동차노조가 2024년 2월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에서 노조 조직 활동을 벌이고 있다. 노동자들이 "현대차 노동자여 일어나라"는 문구를 들고 있다. <전미자동차노조>
전미자동차노조는 트럼프 행정부만이 아니라 현대자동차도 노동자 안전을 저해하는 조치를 해왔다고 주장했다.
전미자동차노조는 7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트럼프 정부만이 아니라 현대차 역시 노동자 안전을 해치는 조치를 취해왔다”고 주장했다.
전미자동차노조는 먼저 4일 발생한 노동자 구금 사태를 두고 트럼프 정부를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등이 조지아주 서배나에 위치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을 급습해 노동자 475명을 체포했다.
체포 과정에서 미국 이민당국은 노동자의 손목과 발목에 수갑을 채운 뒤 열악한 환경의 수감 시설로 데려가 안전과 관련한 논란이 일었다.
그런데 노조는 미국 정부뿐 아니라 현대차 또한 안전 조치를 그동안 등한시해 노동자를 위험에 내몰았다고 주장했다.
전미자동차노조는 “수년 동안 현대차와 협력업체는 업계 표준 예방 조치를 소홀히 했다”며 “공장과 공급망을 짓는 과정에서 이민자 노동력을 착취했다”고 비판했다.
북미 지역에서 40만 명의 활동 회원을 거느린 전미자동차노조는 현지 자동차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단체이다.
2023년 하반기에 전미자동차노조는 GM과 포드, 스텔란티스 등 이른바 ‘빅3’ 기업을 상대로 대규모 파업을 벌여 임금 인상과 노동환경 개선을 담은 단체협약을 각각 이끌어 냈다.
당시 현대차도 2023년 11월13일 미국 내 생산 설비에서 2028년까지 임금을 25% 인상하겠다며 자발적으로 결정해 발표했다.
현재 전미자동차노조는 현대차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 운영하는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노조를 조직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전미자동차노조는 “연방정부는 노동 당국을 활용해서 작업장 안전을 강화할 수 있었지만 군사 작전을 방불케 한 단속으로 상황을 악화시켰다”며 “노동자가 아니라 착취적인 기업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