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문대림 제주지사 선거 박빙 승부, 상호 비방전도 과열

▲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제주도지사 후보(왼쪽)와 원희룡 무소속 후보.

제주도 도지사 선거에서 현역 지사인 원희룡 후보가 재선을 노리고 있지만 무소속 출마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친문 후보인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당의 지원을 등에 업고 반전을 노린다.

두 후보가 치열하게 맞붙었으나 서로 비방에 매몰돼 정책선거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 무소속 원희룡, 민주당 문대림에 앞선 구도

4일 뉴스1 제주본부가 엠알씨케이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원희룡 후보는 46.0%의 지지를 받아 35.4%에 그친 문대림 후보를 10.6%포인트 앞섰다.

이번 여론조사는 2~3일 이틀 동안 만19세 이상 제주도민 100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뉴스1 제주본부 의뢰로 엠알씨케이가 5월12~13일 벌인 여론조사에서 원 후보는 42.1%, 문 후보는 37.1%의 지지를 받았는데 오차범위 안에 있었는데 3주 동안 격차가 다소 벌어진 셈이다.

원희룡 후보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제주도지사에 출마해 60.0%의 높은 득표율로 당선됐다. 이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역대 제주도지사 당선인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이었다.

이번 선거는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원 후보는 2017년 초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속에서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 창당에 힘을 보탰다. 

그러나 바른정당이 일부 의원들의 자유한국당 복당으로 쪼그라들었다가 국민의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이 출범하자 지방선거를 앞두고 4월10일 탈당했다.

당초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으나 무소속으로 선거에 도전하면서 4년 전과 비교해 고전하고 있다.

원 후보에 맞선 문대림 후보는 만만치 않은 경쟁력을 과시하고 있다. 문 후보는 제주 출신으로 대표적 친문 인사다.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 제도개선비서관을 지내다 2월 사퇴해 제주도지사 선거에 뛰어들었다.

4대 1의 당내 경선을 뚫고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을 받은 뒤 중앙당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있다. 4일 민주당은 제주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열고 추미애 대표와 이해찬 의원 등이 나서 문 후보 지지를 호소했다.

현재 원 후보가 다소 앞서고 있다는 관측이 많다. 하지만 여론조사에 따라 두 후보가 오차범위 내 경합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끝까지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제주도지사 선거, 비방 대결에 정책 뒷전

치열한 경쟁구도가 전개되면서 선거전이 정책대결보다 비방전으로 흐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도지사 선거는 경기도지사와 함께 이번 선거에서 가장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곳으로 꼽힌다.

원 후보는 문 후보가 타미우스 골프장 명예회원권을 받아 공짜로 골프를 쳤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문 후보가 부동산 개발회사 부회장을 지낸 점도 선거 초기에 논란이 됐다.

문 후보는 원 후보가 비오토피아 리조트 특별회원권을 받았다며 반격했다. 문 후보는 원 후보가 도유지에 불법으로 가족 납골묘를 조성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두 후보 캠프는 검찰과 경찰, 선거관리위원회에 모두 8건의 고발 또는 신고를 주고받았다. 민주당 제주도당이 원 후보를 고발한 것까지 하면 10건이 넘는다.

자연히 이들이 제시한 정책공약들은 뒷전이 됐다. 제주도지사 후보들은 5월28일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실천 협약식을 열고 정책선거를 다짐했다. 하지만 정작 정책내용은 유권자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후보마다 내세울 ‘킬러 콘텐츠’가 없어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기에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책 개발이 미비하다 보니 상호 비방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문 후보는 △특별자치 분권모델 완성 △제주 4·3사건 완전 해결 △제주형 물류체계 구축 △제주환경관리공단 설립 △탐라대 부지 4차산업혁명 특구 조성을 5대 공약으로 제시했다.

원 후보는 △중국 자본 제주 난개발 제동 △제주 환경자원 총량보전 △청년 공공일자리 1만 개  △맞춤형 돌봄 서비스 △사회서비스 종사자 처우 개선 등을 5대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