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중대재해에 관해 강력한 단속 의지를 보이면서 건설업계에서는 스마트건설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건설 기술은 건설업종의 불황으로 도입이 늦어지면서 디지털 전환이 다른 사업보다 늦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으나 최근 안전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0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개년 스마트건설 로드맵(R&D)'이 올해 완료되면서 스마트 건설에 대한 정부의 새로운 방침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5개년 스마트건설 로드맵은 스마트 건설을 통해 건설 생산성 50% 향상, 사망만일율 1.66에서 1.0으로 감축, 스마트 건설 관련 고부가가치 스타트업 500개 창업 추진 등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설계 자동화, 로봇 시공 및 인공지능(AI) 공사 관리, 로봇 자율 진단을 로드맵으로 설정했다.
정영재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전임연구원은 "스마트 건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건설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건설정보모델링(BIM), 탈현장공법(OSC) 등 개별 스마트 건설기술은 상당히 발전했으나 해당 기술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제도는 다소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마련하고 스마트 건설 도입에 친화적인 제도가 필요하다"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의 고도화 전략도 동반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런 지적처럼 국내 건설산업의 스마트건설 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전환은 다른 주요 산업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지수는 2024년 기준 13.16인 반면 제조업 16.07, 정보통신업 23.57, 지식서비스업 23.98로 집계됐다.
또한 2023년 건설업의 연구개발(R&D) 관련 투자 금액은 7099억 원으로 10년 전 9601억 원보다 오히려 26% 감소했다. 이는 장기간 이어진 건설업계의 불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주요 건설사들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해 근로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 방점을 두며 스마트 건설 도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사들의 스마트 건설을 이용한 안전 관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건설업계 다른 관계자는 "건설사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올해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전환(DX)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을 세웠다"라고 말했다.
일례로 현대건설은 지난 6월 ‘로보틱스 기반의 건설 자동화 및 스마트 안전기술’을 주제로 ‘2025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를 열었다. 현대건설은 이 시연회에서 현장 맞춤형 스마트건설 통합관제 플랫폼, 건설 로보틱스 및 스마트 안전/품질, 스마트 토공, 스마트 터널 등의 분야에서 최신 기술을 선보였다.
HDC현대산업개발은 ‘SAFETY-Ⅰ 2.0’이라는 스마트 안전·보건 통합 플랫폼을 도입해 위험성 평가, 작업 계획서, 안전 교육, CCTV 통합 관제, 출입관리, 밀폐 공간 관리 등을 디지털화하고 모바일 연동도 지원해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안전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GS건설도 외국인 근로자 안전 조회 소통 프로젝트 ‘자이 보이스(Xi Voice)’ 개발 및 활용, 현장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할 때 TV(모니터) 영상에 공유하는 스마트미러링 기술 적용 등을 비롯해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하고 있다.
또 한화 건설부문은 2022년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 고위험 실시간 통합관제 시스템 ‘H-HIMS(Hanwha High-risk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을 한층 고도화하기 위해 AI 기술을 점진적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을 최근 세웠다. 작업자 쓰러짐 자동 감지 등 AI 알고리즘의 정교화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또 AI 영상분석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관제 시스템 시연을 실시했으며 시범 현장에서 효과를 검증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를 강력하게 단속한다고 예고하면서 건설업계의 스마트 건설 활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열린 안전치안점검회의에서 "예측되는 사고 또는 사건이 발생하면 앞으로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며 안전을 보다 강화하려는 정부 기조를 강조 했다.
금융위원회는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출 불이익을 주겠다며 금융권 여신심사에 중대재해 리스크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의 공공입찰 참여 제한도 확대된다.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상 동시에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사망하면 공공입찰 참여를 제한하고 있는 것에서 ‘연간 다수 사망’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건설업계 또다른 관계자는 "스마트 안전 기술은 작업중지권을 포함한 안전 관련 제도들을 확실히 이행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
스마트건설 기술은 건설업종의 불황으로 도입이 늦어지면서 디지털 전환이 다른 사업보다 늦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으나 최근 안전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 한화 건설부문의 고위험 통합관제 시스템 'H-HIMS'. <한화 건설부문>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0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개년 스마트건설 로드맵(R&D)'이 올해 완료되면서 스마트 건설에 대한 정부의 새로운 방침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5개년 스마트건설 로드맵은 스마트 건설을 통해 건설 생산성 50% 향상, 사망만일율 1.66에서 1.0으로 감축, 스마트 건설 관련 고부가가치 스타트업 500개 창업 추진 등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설계 자동화, 로봇 시공 및 인공지능(AI) 공사 관리, 로봇 자율 진단을 로드맵으로 설정했다.
정영재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전임연구원은 "스마트 건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건설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건설정보모델링(BIM), 탈현장공법(OSC) 등 개별 스마트 건설기술은 상당히 발전했으나 해당 기술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제도는 다소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마련하고 스마트 건설 도입에 친화적인 제도가 필요하다"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의 고도화 전략도 동반돼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런 지적처럼 국내 건설산업의 스마트건설 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전환은 다른 주요 산업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지수는 2024년 기준 13.16인 반면 제조업 16.07, 정보통신업 23.57, 지식서비스업 23.98로 집계됐다.
또한 2023년 건설업의 연구개발(R&D) 관련 투자 금액은 7099억 원으로 10년 전 9601억 원보다 오히려 26% 감소했다. 이는 장기간 이어진 건설업계의 불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주요 건설사들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해 근로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 방점을 두며 스마트 건설 도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사들의 스마트 건설을 이용한 안전 관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건설업계 다른 관계자는 "건설사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올해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전환(DX)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을 세웠다"라고 말했다.
일례로 현대건설은 지난 6월 ‘로보틱스 기반의 건설 자동화 및 스마트 안전기술’을 주제로 ‘2025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를 열었다. 현대건설은 이 시연회에서 현장 맞춤형 스마트건설 통합관제 플랫폼, 건설 로보틱스 및 스마트 안전/품질, 스마트 토공, 스마트 터널 등의 분야에서 최신 기술을 선보였다.
HDC현대산업개발은 ‘SAFETY-Ⅰ 2.0’이라는 스마트 안전·보건 통합 플랫폼을 도입해 위험성 평가, 작업 계획서, 안전 교육, CCTV 통합 관제, 출입관리, 밀폐 공간 관리 등을 디지털화하고 모바일 연동도 지원해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안전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GS건설도 외국인 근로자 안전 조회 소통 프로젝트 ‘자이 보이스(Xi Voice)’ 개발 및 활용, 현장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할 때 TV(모니터) 영상에 공유하는 스마트미러링 기술 적용 등을 비롯해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하고 있다.

▲ 현대건설이 6월 남양주 왕숙 국도47호선 이설(지하화)공사 현장 홍보관 내에 마련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초대형 스마트 대시보드를 통해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건설>
또 한화 건설부문은 2022년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 고위험 실시간 통합관제 시스템 ‘H-HIMS(Hanwha High-risk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을 한층 고도화하기 위해 AI 기술을 점진적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을 최근 세웠다. 작업자 쓰러짐 자동 감지 등 AI 알고리즘의 정교화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또 AI 영상분석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관제 시스템 시연을 실시했으며 시범 현장에서 효과를 검증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를 강력하게 단속한다고 예고하면서 건설업계의 스마트 건설 활용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열린 안전치안점검회의에서 "예측되는 사고 또는 사건이 발생하면 앞으로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며 안전을 보다 강화하려는 정부 기조를 강조 했다.
금융위원회는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출 불이익을 주겠다며 금융권 여신심사에 중대재해 리스크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의 공공입찰 참여 제한도 확대된다.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상 동시에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사망하면 공공입찰 참여를 제한하고 있는 것에서 ‘연간 다수 사망’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건설업계 또다른 관계자는 "스마트 안전 기술은 작업중지권을 포함한 안전 관련 제도들을 확실히 이행하기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