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기업일반

대한상의 "중국 간판기업 10년 동안 95% 성장, 한국보다 6.3배 빨라"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5-09-23 09:49:2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간판기업의 성장속도가 한국보다 6.3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3일 미국 경제지 포브스 통계를 분석한 ‘글로벌 2천대 기업의 변화로 본 한미중 기업삼국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2000에 속한 미국기업은 10년 전(2015년) 575개에서 현재 612개로 늘어났다.
 
대한상의 "중국 간판기업 10년 동안 95% 성장, 한국보다 6.3배 빨라"
▲ 대한상공회의소가 23일 미국 경제지 포브스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 동안 중국 간판기업의 성장속도가 한국보다 6.3배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전경. <대한상공회의소>

중국은 180개에서 275개로 폭증한 반면, 한국은 66개에서 62개로 줄었다.

중국 기업생태계에 ‘신흥 강자’들이 대거 출현하면서(10년 동안 52.7% 증가) 지구촌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셈이다.

포브스의 글로벌 2000은 시장 영향력, 재무 건전성, 수익성이 좋은 선도기업을 모은 것으로, 국가별로 분석하면 그 나라 ‘기업생태계의 힘’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기업생태계의 성장세도 한국은 미국과 중국보다 미흡했다.

글로벌 2000대기업 가운데 한국 생태계(한국기업의 합산매출)가 10년 동안 15% 성장(2015년 1조5천억 달러 → 2025년 1조7천억 달러)한 반면, 미국은 63%(11조9천억 달러 → 19조5천억 달러) 성장했다.

신흥강자가 돋보인 중국은 95%(4조 달러 → 7조8천억 달러) 성장했다. 성장속도가 한국의 6.3배에 달하는 셈이다.

대한상의 측은 “중국의 기업생태계가 ‘신흥 강자’를 배출해서 힘을 키웠다면, 미국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IT를 활용한 빠른 탈바꿈’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은 엔비디아(매출 성장률 2,787%), 유나이티드헬스(314%), 마이크로소프트(281%), CVS헬스(267%) 등 첨단산업ㆍ헬스케어 기업이 성장을 주도했으며 스톤X(금융상품 중개, 매출액 1083억 달러), 테슬라(전기차, 957억 달러), 우버(차량공유, 439억 달러) 등의 새로운 분야의 기업들이 신규 진입하며 기업 생태계의 속도를 올렸다.

여기에 실리콘밸리·뉴욕·보스턴 등 세계적인 창업 생태계를 바탕으로 에어비앤비(숙박공유), 도어대시(음식배달), 블록(모바일결제) 등 IT기업들이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새로운 성장을 만들어냈다.

중국은 알리바바(이커머스, 1,188%), BYD(전기차, 1,098%), 텐센트홀딩스(온라인미디어ㆍ게임, 671%), BOE테크놀로지(디스플레이, 393%) 등 첨단기술·IT 분야 기업들이 주로 성장을 이끌었다.

또 파워차이나(에너지, 849억 달러), 샤오미(전자제품, 509억 달러), 디디글로벌(차량공유, 286억 달러), 디지털차이나그룹(IT서비스, 181억 달러) 등 에너지, 제조업, IT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글로벌 2000으로 진입하며 성장 스피드를 올렸다.

한국은 SK하이닉스(215%), KB금융그룹(162%), 하나금융그룹(106%), LG화학(67%) 등 제조업과 금융업이 성장을 이끌었으며, 새롭게 등재된 기업은 주로 금융기업들(삼성증권, 카카오뱅크, 키움증권, iM금융그룹, 미래에셋금융그룹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성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성장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업 생태계 정책을 제언했다.

한국기업 생태계는 기업이 성장할수록 ‘지원’은 줄고 ‘규제’는 늘어나는 역진적 구조로, 기업이 위험을 감수해 가며 성장할 유인이 적은 상황이라고 대한상의 측은 설명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9월 초 기업성장포럼 출범식에서 이를 위해 우선 메가샌드박스라도 활용해 일정 지역, 일정 업종에서라도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지역에 ‘규제 제로(Zero) 실험장’을 만들어 기업들이 AI 등 첨단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자는 이야기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한 해에 중소기업에서 중견으로 올라가는 비중이 0.04%, 중견에서 대기업 되는 비중이 1~2% 정도”라며 “미국이나 중국처럼 다양한 업종에서 무서운 신인기업들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최신기사

COP30 개최지 주민들 숙박시설 확보 위해 쫓겨나, 그럼에도 "총회 개최는 찬성"
카카오톡 AI 결합해 대규모 개편, 정신아 "일상에 스며드는 AI 서비스될 것"
중국 재생에너지 경쟁력에 세계 투자 몰려, "서구권 기업에 투자 무의미"
서스틴베스트 KT·롯데카드 'ESG 평가' 감점, "정보보호 심각성 중대"
테슬라 인공지능 경쟁력에 목표주가 상향, 투자은행 "자율주행 최고 투자처"
대한상의 "중국 간판기업 10년 동안 95% 성장, 한국보다 6.3배 빨라"
키움증권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반등, HBM 판매 확대에 파운드리 적자 축소"
'정교유착 의혹' 정점 통일교 총재 한학자 구속, 법원 "증거인멸 염려"
엔비디아·오픈AI 협력에 반도체주 부각, 하나증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 주목"
대신증권 "스튜디오드래곤 작품 성과 우수, 미국 제작사에 투자한 지분 가치도 상승"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