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Is 인물검색

이강영

세브란스병원병원장

국내 대장암 로봇수술 선구자, 중증 초고난도 치료 전문병원으로 전환 주력 [2025년]

심기봉

덴티스대표이사

영업사원 출신 오너경영인, 글로벌 거점 확대에 주력 [2025년]

이호재

서울옥션회장

가나아트·서울옥션 세워 미술시장 개척, 경매 포트폴리오 확대 추진 [2025년]

김정렬

ISC공동대표이사

전자공학도 출신 전문경영인, SK그룹과 시너지 전략 모색 [2025년]

서수길

SOOP대표

1인방송 생태계 조성, 선정성·사행성 문제와 분식회계 의혹 해결 관건 [2025년]

노문종

코오롱티슈진 대표이사

연구인생과 함께 한 인보사 개발, 국내 실패 딛고 미국서 부활 노려 [2025년]

정해린

삼성물산 리조트부문대표이사 사장

35년 삼성맨, 전자와 그룹 사령탑에서 요직거치며 경영관리역량 쌓아 [2025년]

김남정

동원그룹회장

공격적 인수합병·기술투자로 미래동력 집중, 정체된 그룹 성장 반등은 과제 [2025년]

이종우

제우스대표이사

엔지니어 출신 오너 2세, 임직원 배려 정도경영 중시 [2025년]

김민석

더핑크퐁컴퍼니대표이사

'상어가족' 만든 캐릭터 IP 기업 창업주, 글로벌 시장 공략 집중 [2025년]

채동석

애경산업 부회장

마케팅 역량 높은 오너 2세, 유동성 위기로 애경산업 매각 추진 [2025년]

이규복

현대글로비스대표이사 사장

2년 만에 사장 승진한 전략기획 전문가, 역대 최대 실적 새로 써 [2025년]

서장원

코웨이대표이사 사장

넷마블 출신 코웨이 인수통합 마무리, 업계 첫 '매출 4조' 이끌어 [2025년]

송병준

컴투스홀딩스이사회 의장

경쟁사 인수해 사세 키운 모바일게임 1세대 창업자, 전략적 투자로 사업영역 넓혀 [2025년]

이주호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

소신 뚜렷하고 추진력 강해, 의정갈등 해결에 부심 [2025년]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

돌파력 강한 제일제당 출신 인사전문가, 시설투자·해외시장 확장 주력 [2025년]

김상면

자화전자대표이사 회장

국산화 집념으로 기술개발 성공 매출 6천 억대 회사로 키워, 2세 승계 속도 [2025년]

김영화

크레버스회장

독일서 철학공부하다 돌아와 창업, 교육서비스업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2025년]

최영섭

스맥대표이사

공작기계 국내 톱3 기업 오너, 2위 현대위아 인수 추진 [2025년]

구자은

LS그룹회장

'양손잡이' 경영 강조, LS그룹 마지막 오너 2세 경영인 [2025년]

이강영
세브란스병원병원장
1967년

국내 대장암 로봇수술 선구자, 중증 초고난도 치료 전문병원으로 전환 주력 [2025년]


이강영은 세브란스병원의 병원장이다.

전문의 중심의 중증 초고난도 치료병원으로 시스템 전환에 주력하고 있다.

1967년 태어났다.

서울 경문고등학교를 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연세대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병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수련하고, 미국 텍사스 앤더슨 암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3년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에 임용됐다.

강남세브란스 대장암클리닉 팀장,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실장을 거쳐 연세의료원 기획조정실장, 미래전략실장 겸 중장기사업본부장을 맡으며 병원의 현재와 미래 경영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왔다.

2024년 4월 2년 임기의 세브란스병원장으로 선임됐다.

국내 대장암 로봇수술 분야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대한외과학회 이사장으로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이강영 세브란스병원장이 2024년 6월27일 세브란스병원 세미나실에서 열린 대학병원 행정책임자 자문단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중증치료병원 전환과 4차 병원 도약에 집중
이강영은 2025년 상급중증치료병원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세브란스 새 도약을 서두르고 있다.

세브란스병원은 2025년 초고난도 질환 치료를 위한 시스템 전환에 역량을 집중한다.

우선 병원의 첨단 의료 기술과 환자 경험을 공유하는 데 힘을 기울인다. 둘째,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 활동을 지속해 상급 중증질환전문병원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디딤돌을 놓는다. 셋째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의료 리더십을 강화해 글로벌 병원으로 도약한다는 구상도 가다듬고 있다.

이강영은 AI와 로봇을 결합한 의료기술의 고도화를 비롯,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알고리즘 개발, 국제적인 의료협력 네트워크 확대,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 강화 등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드러내 보였다.

△최고 수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