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투자자문·일임기업의 수수료 수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시장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적자기업은 더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이 17일 발표한 ‘2024 사업연도 투자자문·일임업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 말까지 투자자문과 일임기업 793곳의 수수료 수익은 1조2243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3 사업연도와 비교해 20.1%(2048억 원) 증가한 수치다.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 350곳의 합산 수수료 수익은 1조135억 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17% 늘었다.
업권별로는 자산운용사 수수료 수익이 6826억 원(67.3%)으로 가장 많았다. 증권사 수수료 수익은 3294억 원(32.5%) 은행은 15억 원(0.2%)으로 나타났다.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 443곳의 지난해 수수료 수익은 2108억 원으로 파악됐다. 2023년보다 37.5% 늘어났다.
올해 3월 말 기준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는 742조9천억 원이다. 1년 전(719조1천억 원)보다 3.3%(23조8천억 원) 늘었다.
이 가운데 자산운용사 등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가 721조6천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22조1천억 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 계약고가 642조2천억 원으로 89%를 차지했다. 증권사 계약고는 77조8조 원(10.8%) 은행은 1조6천억 원(0.2%)을 보였다.
3월 말 기준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는 21조3천억 원으로 8.9%(1조7천억 원) 늘었다.
다만 전업 투자자문·일임시장은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흑자를 낸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은 178곳으로 전체(443곳)의 40.2%에 그쳤다. 2023년 3월 말(218곳, 53.7%)보다 흑자기업이 줄었다.
금감원은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은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보험사, 연기금 등 기관 일임재산을 운용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반면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은 2024년 주식시장 침체 등과 맞물려 흑자를 시현한 곳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금융감독원이 17일 발표한 ‘2024 사업연도 투자자문·일임업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 말까지 투자자문과 일임기업 793곳의 수수료 수익은 1조2243억 원으로 집계됐다.

▲ 국내 투자자문과 일임기업 793곳이 2024년 4월부터 올해 3월 말까지 수수료 수익 1조2243억 원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2023 사업연도와 비교해 20.1%(2048억 원) 증가한 수치다.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 350곳의 합산 수수료 수익은 1조135억 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17% 늘었다.
업권별로는 자산운용사 수수료 수익이 6826억 원(67.3%)으로 가장 많았다. 증권사 수수료 수익은 3294억 원(32.5%) 은행은 15억 원(0.2%)으로 나타났다.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 443곳의 지난해 수수료 수익은 2108억 원으로 파악됐다. 2023년보다 37.5% 늘어났다.
올해 3월 말 기준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는 742조9천억 원이다. 1년 전(719조1천억 원)보다 3.3%(23조8천억 원) 늘었다.
이 가운데 자산운용사 등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가 721조6천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22조1천억 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 계약고가 642조2천억 원으로 89%를 차지했다. 증권사 계약고는 77조8조 원(10.8%) 은행은 1조6천억 원(0.2%)을 보였다.
3월 말 기준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의 계약고는 21조3천억 원으로 8.9%(1조7천억 원) 늘었다.
다만 전업 투자자문·일임시장은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흑자를 낸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은 178곳으로 전체(443곳)의 40.2%에 그쳤다. 2023년 3월 말(218곳, 53.7%)보다 흑자기업이 줄었다.
금감원은 “겸영 투자자문·일임기업은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보험사, 연기금 등 기관 일임재산을 운용하면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반면 전업 투자자문·일임기업은 2024년 주식시장 침체 등과 맞물려 흑자를 시현한 곳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