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씨에스윈드의 미국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돼 실적 불확실성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씨에스윈드 실적 예측 가능성은 미국 정책 불확실성 제거로 높아졌다”며 “트럼프발 정책 위험의 정점을 지났다”고 바라봤다.
▲ 씨에스윈드의 미국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돼 실적 불확실성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
그동안 씨에스윈드를 비롯한 국내 재생에너지기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 뒤 실적 및 투자에 도움을 준 세제혜택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에 직면했다.
다만 미국에서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OBBBA, One Big Beautiful Bill Act)가 확정되며 이같은 불확실성도 해소됐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OBBBA 통과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한이 설정돼 최근 풍력개발업체 발주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씨에스윈드는 풍력타워 사업을 주력으로 펼치며 글로벌 터빈기업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한 연구원은 “OBBBA 확정에 따라 풍력개발업체는 2027년말까지 완공 또는 2026년 7월4일까지는 착공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며 “착공 조건 규정의 지침은 수정 가능성이 높아 2027년까지 단지를 완공하는 방안이 최선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베스타스와 GE버노바 등 터빈메이커들에 개발업체의 발주 의뢰가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씨에스윈드는 2분기 연결 매출 6150억 원, 영업이익 506억 원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8.3%, 영업이익은 60.8% 줄어드는 것이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