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HBM 수요 전망에 긍정적 관측을 제시했다. 경쟁사인 마이크론도 이런 추세에 맞춰 주가에 긍정적 효과를 볼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마이크론 HBM3E 반도체 홍보용 이미지. |
[비즈니스포스트]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에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며 경쟁사인 마이크론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마이크론이 삼성전자의 HBM 시장 점유율을 따라잡는 데 더욱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됐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25일 “경쟁사인 SK하이닉스의 실적 증가는 마이크론에 호재”라며 “주가에 인공지능 ‘열풍’ 효과가 반영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SK하이닉스는 전날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HBM 매출이 지난해보다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HBM은 엔비디아와 AMD 인공지능 반도체에 쓰이는 필수 부품이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투자 열풍에 따라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글로벌 HBM 시장에서 절반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선두 기업이다. 삼성전자가 2위로 뒤를 잇는다.
그러나 배런스는 마이크론이 하반기에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추격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공급할 최신 규격 HBM 품질 조건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이유로 제시됐다.
미즈호증권은 보고서를 내고 “마이크론은 HBM 시장 점유율 확대와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고객사 확보를 통해 인공지능 시장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고 평가했다.
마이크론이 내년까지 HBM 생산 증설에 속도를 내면서 적극적으로 수요 대응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 긍정적 전망을 제시한 것은 자연히 마이크론 주가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즈호증권은 이번 보고서에서 마이크론 목표주가를 150달러로 제시했다. 투자의견은 ‘비중 확대’로 유지했다.
24일 미국 증시에서 마이크론 주가는 전날보다 1.73% 상승한 111.73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