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외화예금이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 잔액은 1064억4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5월 말보다 50억8천만 달러 늘어나면서 2달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기업, 국내 6개월 이상 거주 외국인, 국내 진출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의미한다.
예금주체별로 살펴보면 기업예금이 916억7천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46억6천만 달러 늘어났다.
개인예금은 147억7천만 달러로 4억2천만 달러 증가했다.
통화종류별로 보면 미국 달러화 예금이 891억4천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5월보다 36억 달러 늘어났다. 중국 위안화는 11억 달러 늘어난 20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6월 엔화 예금 잔액은 86억9천만 달러다. 한 달 사이 2억6천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연기금의 해외투자자금 일시 예치, 일부 기업의 경상거래대금 예치 등으로 달러화 예금이 크게 증가했다”며 “위안화와 엔화 증가에는 국내 기업의 해외법인 배당금 예치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 잔액은 1064억4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 6월 국내 외화예금 잔액이 5월보다 50억8천만 달러 늘어났다. <연합뉴스>
5월 말보다 50억8천만 달러 늘어나면서 2달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기업, 국내 6개월 이상 거주 외국인, 국내 진출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의미한다.
예금주체별로 살펴보면 기업예금이 916억7천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46억6천만 달러 늘어났다.
개인예금은 147억7천만 달러로 4억2천만 달러 증가했다.
통화종류별로 보면 미국 달러화 예금이 891억4천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5월보다 36억 달러 늘어났다. 중국 위안화는 11억 달러 늘어난 20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6월 엔화 예금 잔액은 86억9천만 달러다. 한 달 사이 2억6천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연기금의 해외투자자금 일시 예치, 일부 기업의 경상거래대금 예치 등으로 달러화 예금이 크게 증가했다”며 “위안화와 엔화 증가에는 국내 기업의 해외법인 배당금 예치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