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4년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 도시지역에 전체 인구 92% 거주

▲ 국토교통부가 ‘2024년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비즈니스포스트] 전체 국민 가운데 90% 이상이 국토 면적의 16.5%에 불과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23일 발표했다.

도시계획현황 통계는 전국 지자체가 관리하는 용도지역, 개발행위허가, 도시·군계획시설 등을 집계한 결과로 매년 공표되는 국가승인통계다.

2024년 전체 국토 면적은 10만6567㎢로 2019년 10만6211㎢와 비교해 0.3% 늘었다. 국토면적의 증가는 간척사업 등에 따른 결과다.

도시지역 면적은 1만7639㎢로 전체 국토 면적의 16.5%에 해당했다.

도시지역에는 전체 인구 5122만 명 중 4715만 명이 거주한다.

도시지역 내 용도지역을 살펴보면 녹지지역이 71.2%를 차지했고 주거지역 15.8%, 공업지역 7.2%, 상업지역 2%가 뒤를 이었다.

비도시지역에서는 농림지역이 55.6%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뒤이어 계획관리지역 13.7%와 자연환경보전지역 13.4%, 보전관리지역 11.6%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5년 전과 비교해보면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이 3.1%, 상업지역은 2.8%, 공업지역이 4.8% 늘었다. 반면 녹지지역은 0.6% 줄었다.

난개발 방지를 목표로 지정하는 성장관리계획구역은 지난해 1만1975곳으로 나타났다. 면적은 4529㎢으로 1년 전 899㎢과 비교해 5배 가까이 늘었다.

국토부는 2024년 지난해 1월부터 계획관리지역에서 공장을 설치할 때 성장관리계획을 의무적으로 수립하도록 하면서 성장관리계획구역의 면적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개발행위허가 건수는 최근 3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허가 건수 18만6080건 가운데 건축물 건축이 9만769건으로 48.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토지형질 변경이 5만 949건(27.4%), 공작물 설치가 2만7401건(14.7%)으로 건축물 건축 다음으로 많은 허가 건수를 차지했다.

10년 이상 토지보상 등이 되지 않은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은 지난해 340㎢로 1년 사이 36㎢ 감소했다.

도시계획현황 통계와 관련한 구체적 자료는 토지이음 및 지표누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