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사이언스가 해외 자회사를 포함한 통합형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체계를 구축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2일 ‘2025 ESG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지난해 인수한 독일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기업 IDT바이오로지카 등 자회사의 ESG 정보를 통합해 연결 기준으로 작성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자회사 통합 '2025 ESG 보고서' 발간

▲ SK바이오사이언스가 ‘2025 ESG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 SK바이오사이언스 >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보고서에서 2024년 지속가능경영 실천 내용과 전략, 영역별 성과 및 데이터 등의 내용을 자회사와 통합해 담았다. 특히 국내외 ESG 공시 동향을 반영해 ‘유럽 지속 가능성 보고 기준(ESRS)’의 이중 중요성 평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중요 주제를 사회적 영향과 재무적 관점을 구분해 반영했다.

환경·사회 영향의 중요 주제로는 인재 확보 및 전문 인력 육성 △제품 안전 및 품질 강화 △의약품 접근성 확대 △유해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윤리/준법경영 이행 등 다섯가지가 선정됐다. 

재무적 중요 주제로는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등 3개 주제가 선정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에 따르면 글로벌 백신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의약품 접근성’ 관련 정보를 대폭 보완했다. △글로벌 백신 공급 확대 전략 △가격 접근성 개선 노력 △중저개발국에 대한 백신 보급 등 의약품 접근성 개선 관련 활동을 상세히 담았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를 중심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전반의 리스크와 기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ESG 실무협의체와 ESG 전담 조직을 통해 각 영역별 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환경경영 이행, 온실가스 감축, 환경영향 관리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회 부문에서는 구성원 행복 증진, 인권경영 고도화,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지역사회 공헌, 안전보건 문화 정착에 주력하고 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이사회 운영, 윤리경영, 내부통제 체계 고도화를 통해 투명성과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박종수 SK바이오사이언스 지속경영본부장은 “이번 보고서는 국제 기준에 맞춰 연결 공시 기반으로 투명성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국제 사회의 지속가능성 요구에 부응하며,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