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엔비디아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가격을 내리기 위해 삼성전자의 5세대 HBM3E 인증을 기다리고 있다는 홍콩 증권사 분석이 나왔다.

증권사는 이를 위해 엔비디아가 2026년 HBM3E 공급을 위한 가격 협상도 중단했다고 부연했다.
 
홍콩 증권사 "엔비디아, 삼성전자 HBM3E 6월 인증 이후로 내년 HBM 가격협상 연기"

▲ 홍콩 금융증권사 GF증권은 12일 엔비디아가 2026년 HBM3E 가격 협상을 모두 연기했으며, 그 이유로 오는 6월로 예상되는 삼성전자의 HBM3E 인증 이후 가격 협상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HBM 홍보 이미지. <삼성전자>


홍콩 GF증권은 12일 보고서를 내고 삼성전자가 이르면 오는 6월 엔비디아의 HBM3E 인증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HBM3E 인증을 기다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엔비디아가 2026년 HBM3E 가격 협상을 모두 연기한 상태라고 부연했다. 

또 삼성전자의 2026년 HBM 시장 본격 진입으로 HBM4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GF증권은 전망했다.

특히 내년 양산에 돌입하는 HBM4 가격은 삼성전자 진입으로 예상보다 가격이 더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고 증권사 측은 내다봤다. HBM4 가격은 HBM3E와 비교해 20% 더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HBM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GF증권은 “2025년 4분기부터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25%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스마트폰과 PC 출하량 감소가 예상되고, HBM 가격 상승률 또한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한편 GF증권은 이를 근거로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샌디스크의 투자 의견을 하향 조정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