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장관 지명자 현대차 포함 회동", 현지 투자 늘리면 관세 면제 언급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오른쪽)가 10일 워싱턴 D.C.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철강 관세 행정명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완성차 업체 관계자와 회동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정부에서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이번 회동에서 완성차 기업 관계자에게 "미국 투자를 늘리면 관세 타격이 없을 것"이라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은 상황을 아는 취재원 발언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가 현대차를 포함한 차량 제조사 관계자와 비공개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가 “미국에 공장 가동을 확대하고 고용을 늘리면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고 매체는 함께 보도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을 비롯한 각국에 상호 관세를 시행했거나 시행을 저울질하고 있다.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 자동차 제조에 필수 소재에도 관세를 매겼다. 

이에 미국에 차량을 판매하는 기업을 중심으로 제조 원가 상승 우려가 나왔는데 장관 임명자가 이를 면제받을 수 있다는 발언을 꺼낸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훨씬 더 늘리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포드와 GM, 스텔란티스 등 이른바 미국 ‘빅3’ 자동차 기업도 관세에 대응해 공급망을 재편하거나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 관료를 상대로 자동차 산업을 관세에서 면제해 달라는 로비 시도가 있었다는 정황도 나왔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산업이나 국가에 관세를 면제하면 자신의 영향력이 약해진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