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효성중공업이 4월부터 울산 효성화학 용연공장에서 가동중인 수소엔진발전기.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은 4월 중순부터 울산시 효성화학 용연2공장에 설치한 1MW 수소엔진 발전기의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효성중공업의 수소엔진발전기는 100% 수소로만 발전이 가능한 제품이다. 그 동안 국내외 기업들이 천연가스, 석탄 등 다른 연료를 함께 사용하는 '수소 혼소 발전기'를 개발한 적은 있지만 100% 수소로만 발전이 가능한 제품을 상용화 한 것은 효성중공업이 세계에서 처음이다.
수소 엔진 발전기는 발전 시 탄소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저감에 매우 효과적이다. 석탄 발전과 비교하면 수소 100%를 연료로 활용해 1MW의 수소엔진발전기를 가동할 때 연간 7천 톤의 이산화탄소 저감이 가능하다.
여러 기의 수소엔진발전기를 병렬로 구성하면 발전량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
회사는 이번에 상용화한 수소엔진발전기가 정부의 수소 전소 목표시기인 2050년보다 20여년 앞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안전검사를 올해 통과해 상업운용을 허가 받으며 안정성도 검증했다.
정부가 올 6월부터 개시하는 청정수소발전제도의 최종 목적이 탄소저감인 만큼 수소엔진발전기는 청정수소발전 시장의 활성화를 견인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제조 환경 구축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6월부터 시행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기업들의 RE100 목표 달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엔진은 수소와 천연가스를 구분하지 않고 연료로 사용 할 수 있어 청정수소가격에 따라 수소의 전소 혹은 혼소 비율을 조절하며 운전가능하기 때문이다.
우태희 대표이사는 "수소엔진발전기 상용화 성공은 그동안 효성중공업이 전력기기를 비롯해 수소충전소 건립·운영, 액화수소 공장 건립 등 수소 사업 부문에서 쌓아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결집시킨 결과"라며 "발전사를 비롯해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사업 환경 구축에 기여하는 한편 수소엔진발전 시장 개척을 통해 수소 경제 활성화를 주도(리드)하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