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정부 정책 변화로 청정수소 프로젝트가 대부분 고사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BP의 그린수소 저장 설비 사진.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에서 추진되는 청정수소 프로젝트 대부분이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어려워지며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에 놓였다.
천연가스를 비롯한 화석연료를 통해 생산되는 수소 산업도 비용과 수요 등 현실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힘을 얻는다.
뉴욕타임스는 13일 “미국 청정수소 산업에 기대가 크게 낮아지고 있다”며 “정부의 세액공제 혜택에 힘입어 높은 수익성을 거두는 일이 이제는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는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그린수소 등 청정수소 생산 기업에 대규모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자연히 미국에서 다수의 청정수소 생산 프로젝트가 출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러나 트럼프 정부에서 미국 의회 동의를 받아 세액공제 적용 시한을 대폭 앞당기는 법안이 통과되며 다수의 기업이 이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뉴욕타임스는 컨설팅 업체 우드맥킨지 분석을 인용해 “2027년 말까지 착공에 들어가는 프로젝트만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그러나 전체의 약 4분의3은 이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다.
수소는 화석연료와 달리 사용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았다. 청정수소는 수소연료 생산에도 온실가스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수소연료는 저장 및 운송이 어렵고 생산 과정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데다 가격도 비싸 실제 수요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된다.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에어리퀴드는 뉴욕타임스에 “청정수소는 당초 공급이 풍부하고 가격도 저렴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며 “그러나 현재 상황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전했다.
청정수소 생산에 필수인 풍력 및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관련한 미국 정부의 지원 정책이 대폭 축소된 점도 관련 산업에 악재로 꼽힌다.
뉴욕타임스는 화석연료인 천연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한 뒤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지하에 저장하는 탄소포집 기술을 결합한 프로젝트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전했다.
해당 프로젝트에는 별도 세액공제 정책이 적용되는 만큼 청정수소 프로젝트와 비교해 착공에 다소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드맥켄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추진되는 수소 생산 프로젝트 역시 2015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뒤 투자 결정 단계에 이른 비중은 15% 미만에 그친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현재 미국의 수소 산업은 수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비용과 수요, 정부 정책 등에 단점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성장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