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 북부 타이응우옌성에 위치한 삼성전자 공장.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베트남 국회가 첨단기술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조항 폐지를 추진하자 삼성전자를 비롯한 현지 진출 기업이 우려를 나타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3일 로이터에 따르면 베트남 국회는 일부 첨단 기술기업에 세금과 관세, 토지 등에 ‘최고 수준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조항을 폐지하는 방향의 법률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여러 현지 투자 기업들이 직접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익명의 한국인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우려를 제기한 회사 가운데 하나”라고 보도했다.
베트남 국회가 12월에 개정안을 채택할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박닌성과 타이응우옌성 등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제조 공장을 두고 있다.
고태연 주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 회장도 10일 정부 행사에서 “법률 개정은 이전에 승인했던 인센티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태연 회장은 “이는 투자 확대나 기술 이전, 인적자원 개발 등 베트남의 중장기 목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베트남에서 법안 개정 움직임이 나온 배경으로 글로벌 무역 긴장도가 높아졌다는 점을 꼽았다.
관세를 비롯한 무역 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베트남 정부가 외국 기업이 아닌 자국 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특혜 정책을 조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실제로 베트남 정부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현지 진출 기업에게 제공했던 세금 혜택을 지난해 최소 법인세율 15%를 도입하면서 없앴다.
로이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베트남에서 한국 제조업체가 만드는 전자제품 부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다만 익명의 한국인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투자 중단을 위협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