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환 원자력안전위원장이 임기를 절반가량 남긴 채 사직서를 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원전 규제보다 진흥에 초점을 맞춰 규제기관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맞는 인사가 뒤를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용환, 임기 절반 남기고 원자력안전위원장 사표 제출

▲ 김용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22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21일 인사혁신처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아직 사표가 수리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2016년 4월 위원장에 올랐다. 임기는 2019년 4월까지로 1년 4개월 정도 남아 있다.

사직서가 수리되면 후임이 결정될 때까지 최종배 원안위 사무처장이 직무대행을 맡는다.

정권이 바뀐 후 김 위원장이 물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여러 차례 제기됐다.

김 위원장은 원안위에서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경주 방사성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장 운영 허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허가 등 원자력 안전보다 진흥 쪽의 정책에 손을 들어왔다.

10월 국정감사에서 원자력 안전을 책임지는 원안위원장이 원자력사업 허가에만 집중했다며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종오 민중당 의원 등이 김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원자력부문 전문 관료다. 2004년 과학기술부 원자력 국장, 2005~2006년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사무처장을 거쳐 2013년부터 원안위 상임위원, 사무처장, 위원장을 지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