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원자력발전소 신고리 5·6호기 공사중단의 영향으로 올해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건설이 불확실해진 점은 두산중공업 실적에 부정적”이라고 파악했다.
![]() |
||
▲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 |
공론화위는 현재 신고리 5·6호기의 공사 재개와 관련해 찬성 또는 반대 의사를 표명할 시민참여단을 모집하고 있다.
공론화위는 지역과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한 확률추출을 통해 약 2만여 명의 시민을 먼저 뽑는다. 이후 9월13일에 학습과 토론 등 심도있는 분석을 하는 숙의과정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시민 500명을 최종 시민참여단에 선정하기로 했다.
공론화위원회는 10월15일까지 시민참여단의 숙의과정을 진행한 뒤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10월20일에 공론화위의 공식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가 공론화위의 결정을 수용한다는 계획을 수차례 발표했던 점을 감안할 때 공론화위의 결정에 따라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국내에서 원전에 쓰이는 주기기들을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자로서 2015년 신고리 5·6호기와 관련해 모두 2조6천억 원의 일감을 수주해 놓았다.
조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은 일반적으로 국내 원전사업에서 높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며 “공론화위 활동과 함께 원전공사가 잠정 중단된 상황이라 당분간 두산중공업이 시장 기대치를 대폭 밑도는 실적을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연구원은 신고리 원전의 건설중단 영향을 일부 반영해 두산중공업이 올해 낼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보다 31% 낮췄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5조2340억 원, 영업이익 9680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9.7%, 영업이익은 22.4% 늘어나는 것이다.
두산중공업 목표주가는 기존 3만6천 원에서 36% 내린 2만3천 원으로 하향조정됐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