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인도가 중국의 대체 시장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8일 "국내 기업에게 있어서 인도 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인도로 잘 팔리는 제품과 인도 벨류체인에 속한 국내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4~25년 인도의 GDP 성장률은 6%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4%대로 하락할 전망인 중국보다도 높은 수치다.
인도의 인구도 2023년 현재 13억9천만 명에서 2030년에 이르러 14억8천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5세 이하 인구 비중이 2030년까지 40%대로 중국(28%)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인도의 젊고 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외국인들의 직접투자가 늘고 있다"며 "인도 정부는 향후 외국계 기업 유치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특히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고기술을 요구하는 글로벌 기업 유치나 관련 인프라 투자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비중은 2018년 2.6%에서 2023년 3.0%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파악됐다. 2021년과 2022년 대인도 수출증가율도 31%와 21%로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2018년 26.8%로 정점을 찍었다가 2023년 19.5%를 기록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인도의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기/광학, 화학제품, 기계 등에 대한 수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국내에서 화학, 전기/전자, 철강, 기계 등 제품의 대인도 수출 비중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또 "국내 기업 가운데 인도 시가총액 상위 기업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으로 효성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KC코트렐, 삼성전자, 삼성물산, HL만도, 현대모비스,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이 있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8일 "국내 기업에게 있어서 인도 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인도로 잘 팔리는 제품과 인도 벨류체인에 속한 국내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인도가 중국의 대체 시장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증권가 의견이 나왔다. 사진은 인도의 저자거리 모습. <연합뉴스>
2024~25년 인도의 GDP 성장률은 6%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4%대로 하락할 전망인 중국보다도 높은 수치다.
인도의 인구도 2023년 현재 13억9천만 명에서 2030년에 이르러 14억8천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5세 이하 인구 비중이 2030년까지 40%대로 중국(28%)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인도의 젊고 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외국인들의 직접투자가 늘고 있다"며 "인도 정부는 향후 외국계 기업 유치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특히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고기술을 요구하는 글로벌 기업 유치나 관련 인프라 투자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인도 수출비중은 2018년 2.6%에서 2023년 3.0%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파악됐다. 2021년과 2022년 대인도 수출증가율도 31%와 21%로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2018년 26.8%로 정점을 찍었다가 2023년 19.5%를 기록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인도의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기/광학, 화학제품, 기계 등에 대한 수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국내에서 화학, 전기/전자, 철강, 기계 등 제품의 대인도 수출 비중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또 "국내 기업 가운데 인도 시가총액 상위 기업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으로 효성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KC코트렐, 삼성전자, 삼성물산, HL만도, 현대모비스, HD현대인프라코어 등이 있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