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미국 경기지표 악화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일으키며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이 필수로 자리잡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투자전문지 마켓워치는 22일 씨티그룹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 경제가 분명한 약화 신호를 보내고 있다”며 “6월부터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씨티그룹은 4월 들어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주요 경제지표가 약화하는 동시에 실업률도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부정적 신호로 바라봤다.
해당 지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발표 뒤 집계된 만큼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관측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정책이 일시적으로 미국 경제에 부정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 타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다만 씨티그룹은 연준이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보다는 미국의 경기 지표 변동을 우려해 통화정책 방향을 선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압박을 더하고 있지만 경제 상황을 방어하는 일이 더 우선순위라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상보다 더 가파른 수준의 기준금리 하락 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제시됐다.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4.25~4.5%에서 연말 3~3.2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추가 하락 리스크가 남아 있다는 분석이 이어졌다.
씨티그룹은 “다수의 경기 지표가 연준의 방향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며 “1.25%포인트의 금리 인하에도 미국이 경기 침체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바라봤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