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리안리가 지난해에 이어 삼성생명과 공동재보험 계약을 맺었다.
코리안리는 삼성생명과 준비금 기준 약 7천억 원 규모의 공동재보험 계약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공동재보험 책임 개시일은 11월1일이다. 두 회사는 약 4개월에 걸쳐 계약을 검토했고 금융감독원 신고는 11월 말에 마쳤다.
코리안리와 삼성생명은 2022년 10월28일에도 5천억 원 규모의 준비금에 대한 공동재보험 계약을 맺었다.
공동재보험은 원수보험사가 위험보험료뿐 아니라 저축 및 부가보험료를 재보험사에 출재해 금리리스크, 해지리스 등도 함께 이전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원수보험사는 금융시장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으며 요구자본 감소로 재무건전성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리안리는 새 국제회계제도(IFRS17)와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발맞춰 2017년부터 공동재보험 시행을 위한 사업기반을 마련해왔다.
코리안리는 “공동재보험 수요가 향후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차별화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험사의 새로운 재보험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코리안리는 삼성생명과 준비금 기준 약 7천억 원 규모의 공동재보험 계약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 코리안리가 삼성생명과 7천억 원 규모의 공동재보험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공동재보험 책임 개시일은 11월1일이다. 두 회사는 약 4개월에 걸쳐 계약을 검토했고 금융감독원 신고는 11월 말에 마쳤다.
코리안리와 삼성생명은 2022년 10월28일에도 5천억 원 규모의 준비금에 대한 공동재보험 계약을 맺었다.
공동재보험은 원수보험사가 위험보험료뿐 아니라 저축 및 부가보험료를 재보험사에 출재해 금리리스크, 해지리스 등도 함께 이전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원수보험사는 금융시장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사전에 해소할 수 있으며 요구자본 감소로 재무건전성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코리안리는 새 국제회계제도(IFRS17)와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발맞춰 2017년부터 공동재보험 시행을 위한 사업기반을 마련해왔다.
코리안리는 “공동재보험 수요가 향후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차별화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험사의 새로운 재보험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