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동양생명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동양생명이 올해부터 도입된 신회계제도(IFRS17)에서 경쟁 보험사보다 실적 개선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됐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동양생명의 목표주가를 기존 5700원에서 4천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11일 동양생명의 주가는 361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실적은 IFRS17 기준으로 발표된다”며 “동양생명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개선된 이익을 보였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동양생명은 보험계약마진(CSM) 확보 차원에서 보장성 보험 상품을 중심으로 큰 폭의 신계약 성장을 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CSM은 보험계약 때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익으로 올해부터 도입된 IFRS17에서 수익성 지표로 여겨진다.
동양생명의 2022년 말 기준 CSM은 2조4천억 원으로 2021년 말 1조9천억 원보다 약 23% 증가했다.
다만 동양생명의 IFRS17에서 이익 개선 폭이 경쟁사보다 크지 않은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정 연구원은 “동양생명은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미래에셋생명 등 상장 생명보험사가 별도기준 40%에서 최대 3배까지 이익 증가를 기대하는 것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동양생명은 2023년 1분기에 별도기준으로 순이익 760억 원을 냈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1.7% 증가한 것이다. 조승리 기자
동양생명이 올해부터 도입된 신회계제도(IFRS17)에서 경쟁 보험사보다 실적 개선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됐다.

▲ 동양생명이 올해부터 도입된 신회계제도(IFRS17)에서 경쟁 보험사보다 실적 개선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됐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동양생명의 목표주가를 기존 5700원에서 4천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11일 동양생명의 주가는 361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실적은 IFRS17 기준으로 발표된다”며 “동양생명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개선된 이익을 보였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동양생명은 보험계약마진(CSM) 확보 차원에서 보장성 보험 상품을 중심으로 큰 폭의 신계약 성장을 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CSM은 보험계약 때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익으로 올해부터 도입된 IFRS17에서 수익성 지표로 여겨진다.
동양생명의 2022년 말 기준 CSM은 2조4천억 원으로 2021년 말 1조9천억 원보다 약 23% 증가했다.
다만 동양생명의 IFRS17에서 이익 개선 폭이 경쟁사보다 크지 않은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정 연구원은 “동양생명은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미래에셋생명 등 상장 생명보험사가 별도기준 40%에서 최대 3배까지 이익 증가를 기대하는 것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고 평가했다.
동양생명은 2023년 1분기에 별도기준으로 순이익 760억 원을 냈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1.7% 증가한 것이다. 조승리 기자